본문 바로가기
  • This is Russell - the most handsome and the smartest.

내 커리어 분석3

스타트업 PO 3개월 근무 후기 사업하고 싶다. 직무 전환해야겠다. PO 로써 근무해보자. 라고 글 쓴 이후 PO 로 정말 취업했다. (이왜진 ;;;) 이곳 저곳 PO 직무 이력서 뿌리고 모두 서류 광탈하고 무너진 멘탈을 회복하고자 여행을 떠났다.15일간 여행을 떠났는데 여행의 마무리 쯤 한 스타트업으로부터 PO 직무 제안 연락을 받았다.아마도 이력서 올려둔 한 구인구직 사이트에서 보고 연락한 것 같다. (추측이다. 그러지 않고서야 나의 개발자 링크드인 이력을 보고 PO 로 연락했을리 없다. 절대로...) 정말 일사천리로 바로 면접 보고 바로 합격했다.(이때 도망쳤어야 했나, 싶긴 한데, 이미 늦었다.) 내가 기존에 다녀본 적 없는 완전한 스타트업이었다.제품 첫 출시일은 만 1년 반 전이다.겨우 MVP 단계이고 (사실 이것도 아니지만,.. 2024. 12. 15.
새로운 직무 도전 - 왜 직무전환 하고 싶은가? 현재 완전 비상사태이다. 아니 내 예상과는 다르게 생각보다 Product Manager (PM) / Product Owner (PO) 채용에서 처참히 떨어지고 있다.  왜지? 면접을 잘 봤다고 생각했는데 떨어진 경우도 있고, 그냥 사전 인터뷰 (커피챗) 에서 떨어진 경우도 있다.나의 문제점이 무엇일까? 직무에 대한 이해도가 너무 낮은걸까?직무에 대한 정보는 인터넷, 그리고 책을 통해서 배웠다.PM / PO 에 대한 책을 사서 읽었다.현실과 다른걸까 아니면 내가 중요하다 생각한 부분들이 다른걸까?뭘 잘못 파악하고 있는걸까? 생각보다 이 일을 시작하고 충분한 경험을 하기까지의 시간이 좀 걸릴 것 같다.그렇다면 이 일이 그만큼의 시간을 투자할 만한가? 이 직무 경험이 나에게 얼마나 중요할까? 왜 직무전환 하고.. 2024. 8. 7.
왜 퇴사하고 싶은가? 0. Intro 이직 준비를 하고 있다. 이직이라 함은 현재 다니고 있는 회사를 결국 퇴사해야 한다는 뜻이다. 면접 준비를 하던 중 왜 현 회사를 떠나고 싶은지 무조건 이야기가 나올거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나 스스로도 감정을 제하고 이성적으로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판단했다. 1. 원인이라고 생각되는 것 1-1. 상황분석 내가 입사를 했을 때, 개발연구팀에는 나와 나와 함께 입사한 대리님 이외에 네명의 팀원이 있었다. 팀장 직급의 두명과 이사 직급의 두명. 모두 10년 이상 20년 이상의 경력직 개발자였다. 그리고 나의 수습기간이 끝나기도 전 팀장 직급의 두명이 퇴사했다. 사실, 스타트업에서는 "있을 수 있는 일" 이라고 생각한다. 불안정하고 주식 그래프처럼 하루아침에 나빠질 수 있다. 상황이 안 좋아진다.. 2022. 2. 2.